국립발레단은 1962년 창단된 대한민국 최초의 직업발레단으로, 국내 최정상의 무용수들과 세계 유명 작품들을 레퍼토리로 보유하며
국내외 발레의 예술적 발전과 대중화를 선도하는 대한민국 대표 예술 단체이다.
국립발레단의 대표적인 전막 작품으로는
유리 그리고로비치의 <백조의 호수>, <호두까기인형>, <스파르타쿠스>, <라 바야데르>, 파트리스 바르의 <지젤>, 마르시아 하이데의 <잠자는 숲속의 미녀>,
프레데릭 애쉬튼의 <고집쟁이 딸>과 크리스티안 슈푹의 <안나 카레니나>, 그리고 존 노이마이어의 <인어공주> 등을 꼽을 수 있다.
또한 우베 숄츠의 <The Seventh Symphony(교향곡 7번)>, 글렌 테틀리의 <봄의 제전>, 조지 발란신의 <세레나데>와 <주얼스>,
이어리 킬리안의 <Forgotten Land>와 <Sechs Tänze>, 에드워드 클러그의 <Ssss...>, 윌리엄 포사이드의 <Artifact Ⅱ> 등
클래식, 모던, 드라마, 네오클래식 발레를 아우르는
다양한 작품들을 보유하며 관객들에게 다채로운 무대를 선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발레의 예술적 정체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전막발레 <해적>과 <돈키호테> (안무: 송정빈)를
국립발레단만의 버전으로 각색 및 재안무했으며,
<왕자호동>, <허난설헌-수월경화>, <호이 랑>과 같은
고유 창작 레퍼토리 또한 개발하며 발레 예술의 지평을 넓혀가고 있다.
국립발레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안무가 육성 프로젝트
<KNB Movement Series>를 통해
단원들이 안무가로서의 역량을 발휘할 기회를 마련해 주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신진 안무가를 발굴하고 소품 레퍼토리를 개발하는 등
대한민국 발레의 대중화와 발전을 이끄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 외에도 ‘찾아가는 지역 공연’, ‘찾아가는 발레교실’ 등을 통해
전국 각지에서 문화 예술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으며, 2021년부터는
지역 초등학생들에게 무상으로 발레 교육과 공연 출연의 기회를 제공하는
‘꿈나무 발레교실’ 사업을 운영하며 발레 저변 확대에 힘쓰고 있다.
또한 국립발레단은 국내뿐 아니라
발레의 종주국이라 할 수 있는 이탈리아, 러시아를 비롯하여
캐나다, 체코, 스위스, 독일, 일본, 영국, 콜롬비아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공연하며
대한민국 문화 예술의 우수성을 전 세계로 널리 알리고,
활발한 문화외교 활동을 펼치고 있다.
국립발레단은 1962년 창단된 대한민국 최초의 직업발레단으로, 국내 최정상의 무용수들과 세계 유명 작품들을 레퍼토리로 보유하며 국내외 발레의 예술적 발전과 대중화를 선도하는 대한민국 대표 예술 단체이다.
국립발레단의 대표적인 전막 작품으로는 유리 그리고로비치의 <백조의 호수>, <호두까기인형>, <스파르타쿠스>, <라 바야데르>, 파트리스 바르의 <지젤>, 마르시아 하이데의 <잠자는 숲속의 미녀>,
프레데릭 애쉬튼의 <고집쟁이 딸>과 크리스티안 슈푹의 <안나 카레니나>, 그리고 존 노이마이어의 <인어공주> 등을 꼽을 수 있다.
또한 우베 숄츠의 <The Seventh Symphony(교향곡 7번)>, 글렌 테틀리의 <봄의 제전>, 조지 발란신의 <세레나데>와 <주얼스>, 이어리 킬리안의 <Forgotten Land>와 <Sechs Tänze>, 에드워드 클러그의 <Ssss...>, 윌리엄 포사이드의 <Artifact Ⅱ> 등 클래식, 모던, 드라마, 네오클래식 발레를 아우르는 다양한 작품들을 보유하며 관객들에게 다채로운 무대를 선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발레의 예술적 정체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전막발레 <해적>과 <돈키호테> (안무: 송정빈)를 국립발레단만의 버전으로 각색 및 재안무했으며, <왕자호동>, <허난설헌-수월경화>, <호이 랑>과 같은 고유 창작 레퍼토리 또한 개발하며 발레 예술의 지평을 넓혀가고 있다.
국립발레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안무가 육성 프로젝트 <KNB Movement Series>를 통해 단원들이 안무가로서의 역량을 발휘할 기회를 마련해 주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신진 안무가를 발굴하고 소품 레퍼토리를 개발하는 등 대한민국 발레의 대중화와 발전을 이끄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 외에도 ‘찾아가는 지역 공연’, ‘찾아가는 발레교실’ 등을 통해 전국 각지에서 문화 예술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으며, 2021년부터는 지역 초등학생들에게 무상으로 발레 교육과 공연 출연의 기회를 제공하는 ‘꿈나무 발레교실’ 사업을 운영하며 발레 저변 확대에 힘쓰고 있다.
또한 국립발레단은 국내뿐 아니라 발레의 종주국이라 할 수 있는 이탈리아, 러시아를 비롯하여 캐나다, 체코, 스위스, 독일, 일본, 영국, 콜롬비아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공연하며 대한민국 문화 예술의 우수성을 전 세계로 널리 알리고, 활발한 문화외교 활동을 펼치고 있다.